6월 14일 단조로움이 시간을 줄인다. 시간을 늘리는 것은 새로움이다. 매일 운동하고 몸에 좋다는 음식을 먹고 장수를 누려도 시간은 짧게만 느껴진다. 하는 일 없이 골방에 앉아 신문이나 들춰 보며 하루하루를 지내다보면 특별히 기억에 남는 것 없이 세월만 허송하는 것이다. 틀에 박힌 일상을 바꾸고 이국적인 곳으로 여행을 떠나고 가능한 한 기억에 남을 새로운 경험을 많이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새로운 기억의 창조가 심리적 시간을 늘리고 삶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바꾼다. - 1년만에 기억력 천재가 된 남자. 조슈아 포어 지음.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KOR9788901208220 ... 네이버블로그는 링크 걸면 자동으로 정보도 같이 띄워주는데ㅠㅠ 불친절한 티스토리ㅠㅠ 더보기 Overlapped IO 모델 개인적인 생각.IOCP모델 공부하기 전에 흔히들 먼저 책에서 권하는 단계. 서버 공부하다보니 이 부분부터가 약간의 분기점이 되지 않나 싶다. 기존까지는 Send/Recv 함수를 그냥 써줬다면, 여기서부터 WSASend/WSARecv를 써주기 때문이다. 소켓 생성 역시 마찬가지로 socket 함수를 기존까지 썼다면, OverlappedIO모델부터는 WSASocket 함수를 사용해서 소켓을 생성한다. 기존까지의 방식과 차이점.TCP/IP 통신의 특성상, 보내려는, 혹은 받으려는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을 때 까지 통신이 이루어지는 걸로 알고있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송수신이 처리되었는지 '결과'를 받는 과정이 필요한데, 기존까지는 Send/Recv 함수의 리턴이 이러한 과정이었다. 따라서 프로그램은 이 함수들이 .. 더보기 Notification IO Model 전에 이미 공부한 내용이긴 하지만 Overlapped IO Model 보다 앞서서 봐야할 내용이므로 정리 차원에서 포스팅. Select함수를 사용하는 다중접속 서버에 구현 방법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 하지만이것도 나중에(..) 정리하고 우선 Select 함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다는 전제. 동기 vs 비동기 '동기'적 처리에 대한 단점 : recv 함수를 사용할 때(물론 select 함수를 사용하지 않은 상황), 서버는 받은 데이터가 존재할 때 까지 recv 함수의 반환을 기다려야 함. 반환을 기다리는 동안 다른 연산을 처리한다던가 하는 유용한 일을 처리할 수도 있는데 말이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해서'비동기'적 처리로 서버를 구현할 수가 있다. Select 함수로도 물론 처리할 수 있다. 다만, 개발..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9 ··· 21 다음